맨위로가기

교황 비오 9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황 비오 9세는 1792년 이탈리아에서 태어나 로마에서 수학하고 사제 서품을 받은 후, 칠레와 페루에서 포교 활동을 했다. 1846년 교황으로 선출된 후 교황령의 마지막 통치자로서 이탈리아 통일 운동에 반대하며 이탈리아 왕국과 대립했다. 그는 제1차 바티칸 공의회를 소집하여 교황 무류설을 교의로 선포하고, 성모 마리아의 무염시태 교리를 확립했으며, 근대 사상에 맞서 교회의 권익 보호에 힘썼다. 1870년 교황령이 멸망한 후 스스로를 바티칸의 포로로 선언하고 이탈리아 정부와 단교했다. 1878년 선종했으며, 2000년 복자로 시복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세기 교황 - 교황 비오 7세
    교황 비오 7세는 1800년부터 1823년까지 재임한 로마 가톨릭교회의 251대 교황으로, 나폴레옹과의 대립 속에서 프랑스 정부와의 관계 회복, 예수회 복원, 노예 무역 억제에 관여했다.
  • 19세기 교황 - 교황 비오 8세
    프란체스코 사베리오 카스틸리오니, 즉 교황 비오 8세는 제253대 교황으로서 재위 기간 동안 온건한 정책을 추진하고 종교적 무관심주의에 맞서 싸우며 혼인법 준수와 가톨릭 교육 장려에 힘썼고 프로이센, 프랑스, 네덜란드 등과의 국제 관계에도 관여했다.
  • 교황에 관한 - 교황 베네딕토 16세
    교황 베네딕토 16세는 2005년부터 2013년까지 제265대 교황으로 재임하며, 가톨릭 교리를 수호하고 교회 일치와 종교 간 대화를 위해 노력했으나, 보수적인 신념과 스캔들 대처 등으로 비판을 받기도 했다.
  • 교황에 관한 - 교황 베네딕토 15세
    자코모 델라 키에사라는 본명을 가진 교황 베네딕토 15세는 제1차 세계 대전 중 평화 중재 노력을 펼쳤으나 실패하였고, 전후 인도주의 활동, 외교 관계 수립, 교회법 개정, 선교 활동 강조 등 교회 발전에 기여하였다.
  • 복자 교황 - 교황 바오로 6세
    교황 바오로 6세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마무리하고 교회 개혁을 추진한 교황으로, 교황청 개혁과 전례 개혁을 단행하고 교회 일치 운동에 기여했으나, 인공 피임 금지 회칙과 교회 개혁 논란으로 복잡한 시기를 겪었으며 시복 및 시성되었다.
  • 복자 교황 - 교황 우르바노 2세
    교황 우르바노 2세는 1088년부터 1099년까지 재위하며 제1차 십자군 파병을 호소하여 십자군 운동을 촉발하고, 개혁을 추진하며 교황권을 강화하다가 제1차 십자군이 예루살렘을 점령하기 직전에 사망한 인물이다.
교황 비오 9세
기본 정보
1875년 아돌프 브라운이 찍은 비오 9세
1875년의 비오 9세
이름비오 9세
로마자 표기Pio IX
이탈리아어 표기Papa Pio IX
본명조반니 마리아 마스타이 페레티
로마자 본명Giovanni Maria Mastai-Ferretti
출생일1792년 5월 13일
출생지교황령 세니갈리아
사망일1878년 2월 7일
사망 장소이탈리아 왕국 로마, 바티칸 궁전
매장 장소산 로렌초 푸오리 레 무라 대성당
서명
직책
직함로마 교황
재임 시작1846년 6월 16일
재임 종료1878년 2월 7일
선임자그레고리오 16세
후임자레오 13세
서품일1819년 4월 10일
서품자파브리치오 스체베라스 테스타페라타
주교 서임일1827년 6월 3일
주교 서임자프란체스코 사베리오 카스틸리오니
추기경 임명일1839년 12월 23일 ()
추기경 공개 임명일1840년 12월 14일
추기경 임명자그레고리오 16세
경력
이전 직책칠레 및 페루 감사관 (1823–1825)
산 미켈레 병원장 (1825–1827)
산타 마리아 인 비아 라타 성당 참사회원 (1825–1827)
스폴레토 대주교 (1827–1832)
이몰라 대주교 (개인 칭호) (1832–1846)
산티 마르첼리노 에 피에트로 성당 사제 추기경 (1840–1846)
종교
종교가톨릭교회
시복 및 시성
시복일2000년 9월 3일
시복 장소바티칸 시국, 성 베드로 광장
시복자요한 바오로 2세
축일2월 7일
칭호복자
공경가톨릭교회
기타
좌우명Crux de Cruce
수호로마의 피우스 신학교
세니갈리아
세니갈리아 교구
제1차 바티칸 공의회
성지산 로렌초 푸오리 레 무라 대성당

2. 생애 초기와 성직 생활

조반니 마리아 마스타이 페라티는 1792년 5월 13일 이탈리아 아드리아 해변에 위치한 작은 도시 세니갈리아의 귀족 가문에서 태어났다.[4] 그는 볼테라의 피아리스트 대학과 로마에서 수학하였다. 1814년 신학생이 된 그는 고향 세니갈리아에서 프랑스에 끌려갔다가 돌아온 교황 비오 7세를 알현하였다. 1815년 교황의 귀족 근위대에 입대했으나, 얼마 안가 간질성장애로 퇴역하였다.[6] 그는 비오 7세에게 자비를 구했고, 비오 7세는 그를 승진시키고 신학 공부를 계속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이후 치료 후 건강을 회복한 마스타이 페라티는 비오 7세를 알현하였는데, 그가 자신의 지속적인 신학 공부를 칭찬하며 북돋아주자 감격하여 그의 발 앞에 부복하였다.

1819년 마스타이 페레티의 첫 미사 모습


1819년 4월 10일 마스타이 페라티는 사제 수품을 받았다. 교황은 원래 다른 사제가 마스타이의 미사를 보조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발작이 덜 빈번해지자 그 조건을 철회했다. 그는 처음에 로마의 타타 조반니(Tata Giovanni) 연구소의 소장으로 일했다.

고아들을 가르치는 신부 조반니 마리아 마스타이 페레티


1823년과 1825년에 마스타이 페라티는 칠레 주재 교황대사 조반니 무치 몬시뇰페루 주재 교황대사 브래들리 카네 몬시뇰의 보좌신부로 파견되어 남아메리카에서의 포교 활동을 도왔다.[7] [8] 비오 7세 사망 직전, 칠레 지도자 베르나르도 오히긴스의 새 공화국의 가톨릭 교회를 재편성해 달라는 요청에 따라, 마스타이 페라티는 사법관으로 임명되어 사도 대사인 몬시뇰 조반니 무지를 돕게 되었다. 이는 혁명 후 남아메리카로의 첫 번째 사절단이었다. 로마로 돌아온 후, 비오 7세의 후계자인 교황 레오 12세는 그를 로마의 산 미켈레 아 리파 병원장(1825~1827)과 산타 마리아 인 비아 라타의 참사회원으로 임명했다.

교황 레오 12세는 35세의 마스타이 페레티를 1827년 스폴레토 대주교로 임명했다. 1831년 미수에 그친 혁명이 파르마 공국과 모데나 공국에서 시작되어 스폴레토로 확산되었고, 대주교는 혁명이 진압된 후 전반적인 사면을 얻어 자유주의적인 평판을 얻었다. 다음 해 그는 더 권위 있는 이몰라 교구로 옮겨졌고, 1839년에는 추기경 in pectorela가 되었으며, 1840년에는 성 마르첼리노 에 피에트로 알 라테라노의 추기경 사제로 공개적으로 선포되었다. 스폴레토와 이몰라 교구장으로 재직하는 동안 그는 교육 개선과 자선 활동을 통한 사제 양성에 힘썼다. 그는 감옥에 있는 수감자들을 방문하고 거리 아이들을 위한 프로그램을 실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3. 교황 선출

교황 그레고리오 16세의 선종으로 1846년 새 교황을 선출하기 위한 콘클라베가 열렸다. 당시 이탈리아는 정치적으로 매우 불안정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많은 비(非)이탈리아인 추기경들이 콘클라베에 참석하지 못했다. 총 62명의 비이탈리아인 추기경 가운데 겨우 46명만 참석했다.[9]

1846년 콘클라베에서는 보수적인 성향의 추기경들과 자유주의적 성향의 추기경들 간에 파벌이 나뉘어 난관에 봉착했다. 보수 세력은 루이지 람브루스키니 추기경을, 자유주의 세력은 파스칼레 톰마소 기지 추기경을 지지했다. 1846년 6월 16일, 두 번째 투표에서 54세의 마스타이 페라티 추기경이 새 교황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반성직자주의자나 카르보나리당원들조차 존경할 정도로 열정적이고 감성적인 사람이었으며, 이탈리아 애국주의적 성향도 갖고 있었다.[9]

마스타이 페라티는 비오 7세가 간질을 앓던 자신이 사제 서품을 받는 것을 격려해 준 것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교황명을 비오 9세로 선택했다. 비오 9세의 대관식은 1846년 6월 21일에 거행되었다.[9]

1846년 교황으로 선출된 후 얼마 지나지 않아 그려진 비오 9세의 삽화


자유주의 성향의 비오 9세 선출은 유럽과 다른 지역에서 큰 열광을 불러일으켰다. 선거 후 20개월 동안 비오 9세는 이탈리아 반도에서 가장 인기 있는 인물이었고, '비오 9세 만세!'라는 외침이 자주 들렸다.[11]

4. 교황

비오 9세는 1846년 교황으로 선출되어 1870년 이탈리아 왕국에 의해 로마가 함락될 때까지 교황령을 통치한 마지막 교황이었다.

1846년 교황 선거는 이탈리아 내 불안한 정치적 분위기 속에서 열렸다. 추기경들은 전임 교황 그레고리오 16세의 강경 노선을 지지하는 보수파와 온건한 개혁을 지지하는 자유주의파로 나뉘었다.[10] 보수파는 루이지 람브루스키니 추기경을, 자유주의파는 톰마소 파스쿠알레 지치 추기경과 마스타이 페레티 추기경을 지지했다.[10]

초기 투표에서 람브루스키니 추기경이 과반수 표를 얻었지만, 3분의 2 이상의 지지를 얻는 데는 실패했다. 프랑스 정부의 지지를 받은 지치 추기경은 추가적인 지지를 얻지 못했고, 결국 선거는 람브루스키니와 마스타이 페레티의 대결로 좁혀졌다.[10]

교착 상태가 지속되자, 자유주의파와 온건파 추기경들은 람브루스키니 추기경을 저지하기 위해 마스타이 페레티 추기경에게 투표하기로 결정했다. 1846년 6월 16일 저녁, 마스타이 페레티가 교황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매력적인 후보였고, 열정적이며 감정적이었고, 우정을 나눌 줄 알았으며, 카르보나리에게도 관대함을 보여준 이력이 있었다. 그는 애국자였고 그레고리오 16세를 비판적으로 평가한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11]

1847년 교황 비오 9세 초상화


비오 9세의 선출은 이탈리아와 유럽 전역에서 큰 환영을 받았다. 그는 경건하고 진보적이며 지적이고 품위 있고 친절하며 모든 사람에게 열려 있는 인물로 평가받았다.[11]

비오 9세는 이탈리아 통일 운동(리소르지멘토)에 반대하며 이탈리아 왕국과 대립하였다. 제1차 바티칸 공의회를 소집하여 교황 무류성을 교의로 선포하고, 성모 마리아의 원죄 없는 잉태 교리를 확립하였다. 또한 반가톨릭주의와 근대 사상에 맞서 교회의 권익 보호에 힘썼다.

4. 1. 대외 관계

교황 비오 9세는 교황령을 통치한 마지막 교황으로서, 3백만 명이 넘는 국민을 다스리며 여러 나라와 외교 관계를 맺었다.

  • 이탈리아: 1870년 이탈리아 왕국이 교황령을 무력으로 점령하면서 교황령은 멸망했다.[9] 비오 9세는 이탈리아 왕국을 인정하지 않고 '바티칸의 포로'를 자처하며 이탈리아 정부와 단교했다.[23]
  • 오스트리아: 1848년 혁명으로 교회는 국가의 간섭에서 벗어날 수 있었으나, 자유주의자들의 압력으로 1870년 프란츠 요제프 1세 황제는 바티칸과 맺은 1855년 콘코르다트를 파기해야 했다.[12]
  • 독일: 비스마르크 수상의 문화투쟁에 맞서 독일 중앙당을 지원하며 가톨릭 세력 유지를 위해 노력하였다.[39]
  • 영국: 1850년 교황령 ''만민교회(Universalis Ecclesiae)''를 통해 영국과 웨일스에 가톨릭 교계제도를 부활시켰으나, "교황의 침략"이라 불리며 영국 개신교도들의 격렬한 반발을 불러일으켰다.[30]
  • 네덜란드: 1853년 유트레히트 대교구를 설립하고 네 개 교구를 설치했으나, 영국과 마찬가지로 반가톨릭 정서의 폭발로 이어졌다.
  • 캐나다: 비오 9세의 치세에 캐나다에서는 가톨릭교회의 교세가 크게 증가했다.[12]
  • 미국: 1875년 존 맥클로스키를 최초의 미국인 추기경으로 임명하였다.[60]
    1875년 3월 15일, 비오 9세는 존 매클로스키를 미국인 최초로 추기경에 임명하였다.
    남북 전쟁 종식을 촉구했으나, 남부 연합을 인정하지는 않았다.[35]
  • 조선: 1857년 조선 순교자 82명을 가경자로 선포하였고,[9] 1866년 병인박해 발생 후 조선 교우들을 위로하는 서한을 보냈다.[9]

4. 1. 1. 이탈리아

비오 9세는 교황령을 통치한 마지막 교황이었다. 1870년 이탈리아 왕국이 교황령을 무력으로 점령하면서 교황령은 멸망했다.[9]

1848년 혁명은 교황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혁명 초기, 비오 9세는 개혁적인 교황으로 여겨졌으나, 혁명이 격화되면서 보수적인 입장으로 선회했다. 1848년 11월, 펠레그리노 로시 총리가 암살당하고 폭동이 일어나자, 비오 9세는 로마를 탈출하여 가에타로 피신했다.[21] 1849년 로마 공화국이 선포되자, 교황은 모든 참여자들을 파문했다.[21] 1850년, 프랑스 군대의 도움으로 로마로 귀환한 후, 비오 9세는 퀴리날레 궁전 대신 바티칸에서 거주하기 시작했다.[21]

1860년, 사르데냐 왕국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는 카스텔피다르도 전투와 안코나에서 교황군을 격파하고 로마를 제외한 교황령 대부분을 점령했다.[22] 1870년, 이탈리아 왕국은 로마를 점령하고 교황령을 병합했다. 비오 9세는 이탈리아 왕국을 인정하지 않고, '바티칸의 포로'를 자처하며 이탈리아 정부와 단교했다.[23] 그는 이탈리아 국왕을 파문하고, 가톨릭 신자들이 이탈리아 의회 선거에 투표하는 것을 금지하는 교령을 발표했다.[23]

4. 1. 2. 오스트리아

1848년 혁명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가톨릭 교회에 복합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 혁명으로 교회는 국가의 지나친 간섭에서 벗어날 수 있었고, 비오 9세는 이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그러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내에는 자유주의자들을 중심으로 한 반가톨릭 정치 운동이 활발했고, 이들의 압력으로 1870년 프란츠 요제프 1세 황제는 바티칸과 맺은 1855년 콘코르다트를 파기해야 했다.[12] 오스트리아는 이미 1866년에 가톨릭 학교의 자유와 민간 결혼 금지에 관한 여러 조항을 무효화한 상태였다.[12] 외교적 노력이 실패한 후, 비오 9세는 1874년 3월 7일 회칙 ''Vix dum a nobis''를 발표하여 종교 자유와 교육의 자유를 요구했다. 이러한 발전에도 불구하고, 오스트리아에서는 독일의 문화투쟁과 같은 대규모 탄압은 없었고, 비오 9세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전역에 새로운 교구를 설립했다.[12]

4. 1. 3. 독일

비스마르크 수상은 독일 제국에서 가톨릭 교회를 탄압하는 문화투쟁을 일으켰으나, 비오 9세는 독일 중앙당을 지원하며 이에 맞섰다.[39] 비오 9세는 1878년 중앙당을 총선에서 대승으로 이끌어 비스마르크에게 압력을 가하는 등 가톨릭 세력 유지를 위해 노력하였다.

4. 1. 4. 영국

1850년 비오 9세는 교황령 ''만민교회(Universalis Ecclesiae)''를 통해 영국과 웨일스에 가톨릭 교계제도를 부활시켰다. 니콜라스 와이즈먼(Nicholas Wiseman)을 대주교이자 추기경으로 임명하고, 12개의 교구를 새로 설치했다.[30]

새로 설치된 12개의 교구는 다음과 같다.

교구
서리
헥섬
베벌리
리버풀
살포드
슈롭셔
뉴포트
클리프턴
플리머스
노팅엄
버밍엄
노샘프턴



이는 "교황의 침략"이라 불리며 영국 개신교도들의 격렬한 반발을 불러일으켰고, 1851년 영국 의회는 가톨릭 주교가 "영국 내 어떤 도시, 마을 또는 장소, 또는 어떤 영토나 지역(어떤 명칭이나 설명하에든)"의 주교 직함을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는 1851년 교회 직함법(Ecclesiastical Titles Act 1851)을 통과시켰다.[30] 그러나 이 법은 시행된 적이 없었고 20년 후 폐지되었다.[31]

4. 1. 5. 네덜란드

1848년 네덜란드 정부는 가톨릭 신자들에게 종교의 자유를 보장했다.[33] 1853년, 비오 9세는 유트레히트 대교구를 설립하고, 그 아래 하를렘, 's-Hertogenbosch, 브레다, 로어몬드 등 네 개 교구를 설치했다. 이는 영국과 마찬가지로 짧은 기간 동안 반가톨릭 정서의 대중적 폭발로 이어졌다.

4. 1. 6. 캐나다

비오 9세의 치세에 캐나다에서는 가톨릭교회의 교세가 크게 증가하여, 처음에는 네 곳의 교구로 시작하였던 캐나다 교회가 1874년에는 21개의 교구, 1,340채의 성당, 1,620명의 사제를 보유하게 되었다.[12]

4. 1. 7. 미국

1875년 3월 15일 비오 9세는 존 맥클로스키를 최초의 미국인 추기경으로 임명하였다.[60] 비오 9세는 스스로 ‘명예로운 미 합중국 대통령(Honorable President of the Confederate States of America)’이라는 칭호를 사용한 제퍼슨 데이비스 앞으로 서신을 보냈는데, 일부 역사학계에서는 이를 미국이 받은 최초의 국제적 인증으로 보고 있다.[60]

1847년 2월 7일, 비오 9세는 미국의 주교들이 만장일치로 요청한 무염시태를 미합중국의 수호성인으로 선포하였다.

1862년 10월부터 교황은 미국의 가톨릭 지도자들에게 공개 서한을 보내 "파괴적인 남북 전쟁"의 종식을 촉구하기 시작했다.[34] 그러나 역사가 돈 H. 도일에 따르면, "미국 남북 전쟁 동안 교황은… 평화가 분리를 의미하는 시기에 미국 주교들에게 평화를 촉구했고, 비공개적으로 남부에 대한 강한 동정심을 표명했다. 남부 연합은 비오 9세를 그들의 대의에 끌어들이기 위해 사절을 보냈고, 유럽에서 가장 강력한 교황이 남부 연합을 인정했다고 자랑하며 돌아왔다. 교황은 그러한 주장을 반박하는 말을 하지 않았다…" [35]

바티칸은 미합중국 남부 연합을 결코 인정하지 않았으며, 그곳에 외교관을 파견하지도 않았다. 그러나 1863년 교황은 남부 연합 사절과 비공개 면담을 하고 점진적 해방을 제안했다.[36] 1863년 12월 비오 9세가 제퍼슨 데이비스에게 보낸 편지에서 "Praesidi foederatorum Americae regionum"(미국 연합 지역의 대통령)이라고 부른 것은 남부 연합의 관리들조차도 남부 연합을 인정하는 것으로 보지 않았다. 남부 연합 국무장관 주다 P. 벤자민은 이를 "정치적 행동이나 정식 외교 관계 수립과 관련 없는 단순한 추론적 인정"으로 해석했으며, 공식적인 인정의 무게를 지니지 않았다.[37]

4. 1. 8. 조선

1847년 조선 천주교회 제3대 대목구장이었던 페레올 주교는 천주교 박해로 숨진 조선 순교자들의 죽음을 알리고 시복 대상에 올리고자 김대건 신부 등 조선 순교자들의 전기를 작성하여 로마 교황청에 제출하였다. 비오 9세는 조선 천주교회를 배려해서, 시복 절차에 필요한 최초 심리를 페레올 주교의 기록으로 대신할 수 있도록 조처를 내렸다. 이를 통해 1857년 조선 순교자 82명을 가경자로 선포하였다.[9]

1866년 조선에서 병인박해가 발생하자 그해 12월 19일자 서한을 통해 조선 교우들을 위로하고, 박해를 받는 이들에게 위로와 언약된 보상을 상기시켰다. 교황은 그 무서운 순교 소식을 들을 때 침통해진다고 하면서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9]

4. 2. 교황령 통치

비오 9세는 1846년 교황으로 선출된 후 1870년 이탈리아 왕국에 의해 로마가 함락될 때까지 교황령을 통치했다. 그는 철도 건설, 가로등 설치, 선진 농업 기술 도입, 자선 사업 확대 등 교황령의 근대화를 위한 다양한 개혁을 추진했다.[49] 이러한 개혁으로 초기에는 자유주의자들로부터 많은 지지를 받았다.

교황령 정부는 성직자와 세속인으로 구성되었는데, 세속인이 다수였지만 성직자가 최종 결정권을 가졌다. 재정, 경제, 상업, 무역, 사법, 군사,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개혁이 이루어졌다. 특히, 비오 9세는 양모와 비단 등 교황령의 주요 수출 품목 생산을 장려하고, 도로, 항만, 교량, 철도 건설을 통해 수송 체계를 개선했다.

교황 비오 9세의 초상이 새겨진 20바이오치 주화.


사법 제도 개선에도 노력했으나, 법률 서적 및 기준 부족, 범죄 집단의 횡행 등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군대는 모병제였으나, 로마 귀족들의 군 복무 회피와 시민들의 지원 부족으로 외국인 용병에 의존해야 했다.

비오 9세는 예술 보호와 증진에도 힘썼으며, 연극 검열 완화, 예술가 지원, 역사적 건축물 복원 및 발굴 등을 추진했다. 특히 콜로세움 보강 공사와 카타콤바 발굴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그러나 1848년 혁명 이후 비오 9세의 개혁은 최소주의적인 것으로 평가받게 되었다. 1858년 볼로냐에서 발생한 에드가르도 모르타라 납치 사건[61][62]은 국제적인 비난을 초래했다.

4. 2. 1. 유대인 소년 납치 사건

1858년 교황령 볼로냐에서 6세 에드가르도 모르타라가 가톨릭 세례를 받았다는 이유로 교황청에 의해 납치되어 가톨릭 사제로 양육된 사건이 발생하였다. 당시 법률상으로는 그리스도인이 유대교 집안에서 양육되는 것이 금지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모르타라는 훗날 “부모님은 나에게 집으로 돌아가자며 눈물로 호소하고 회유했으나, 내가 초자연적 은총의 힘을 목격했다는 사실 외에는 집으로 돌아가고 싶다는 실낱같은 욕망도 보이지 않았다.”고 회고하였다.

세계적 가톨릭 신학자 한스 큉은 저서 《가톨릭의 역사》에서 비오 9세가 유대인 소년을 종교적인 이유로 납치해 냉혹하게 가톨릭 방식으로 양육했다고 주장했다.[62] 게리 윌스도 저서 《교황의 죄》에서 비오 9세가 6살짜리 유태인 아이를 납치했으며, 교황이 납치사건에 개입하게 된 것은 이 유태인 어린이가 그리스도인으로부터 세례를 받았기 때문인데, 당시 교황으로서는 그리스도교에 무관심한 유대인 부모에게 그리스도인 아이를 맡겨 키우게 할 수 없었던 것이라고 주장한다.[61]

4. 3. 교회 통치

비오 9세는 교황권의 중앙집권화를 강화하고, 전 세계 주교들에게 강론을 통해 직접 메시지를 전달하는 등 교회 안에서 자신의 지도력을 발휘하였다. 제1차 바티칸 공의회 소집은 교황권 강화에 중요한 이정표로 평가받는다.[20] 그는 러시아 제국, 오스만 제국 등에서 가톨릭 신자들의 종교 자유를 위해 노력했으며, 이탈리아, 독일, 프랑스 등에서 확산되던 반가톨릭주의에 맞서 교회의 권익을 보호하고자 하였다.[20]

제1차 바티칸 공의회에서 채택된 교황무류설은 큰 파문을 일으켰다. 독일 제국오토 폰 비스마르크 수상과의 문화투쟁에도 불구하고, 비오 9세는 독일 가톨릭 중앙당을 지원하여 가톨릭 세력을 유지하려 노력했다.[51]

비오 9세는 일본 26 성인을 시성하고, 나가사키현 신자 발견에 기뻐하는 서한을 발표하는 등 일본과도 인연이 있었다.[51]

4. 3. 1. 신학

비오 9세는 교회의 가르침을 정의하는 교황으로서의 역할에 매우 철두철미했으며, 총 38편의 회칙을 반포하였다. 1864년 12월 8일에는 가톨릭교회의 입장에서 배척해야 할 80개의 오류를 정리한 오류표를 모든 주교들에게 보냈다. 오류표에서는 범신론, 계몽주의, 실증주의, 사회주의, 공산주의, 교회와 국가의 관계 등, 특히 근대적인 자유주의진보주의를 비판하였다.[51]

1848년, 비오 9세는 로마 신헌법을 발표하였으나, 교회 측의 우위를 인정한 보수적인 내용으로 사람들의 실망을 샀다. 사르데냐 왕국오스트리아에 선전포고하자, 가톨릭 국가인 오스트리아와의 마찰을 우려하여 전쟁에 개입하지 않겠다는 교서를 발표하고 리소르지멘토와 거리를 두었다. 이러한 입장은 1864년 회칙 「콴타 쿠라」에 부속된 「오류표」로 이어져, 자연주의, 합리주의, 자유주의 등 근대 사상·문화를 부정하는 내용으로 교황청과 근대 사회의 단절은 결정적이 되었다.

비오 9세는 회칙을 통해 자신의 견해를 적극적으로 알린 최초의 교황이었다. 그는 회칙을 신앙 설명보다는 오류를 비난하는 데 사용했다. 다음은 비오 9세의 주요 회칙 목록이다.

발표년도회칙 제목주요 내용
1846년Qui pluribus신앙과 종교에 관한 내용
1847년Praedecessores nostros아일랜드 지원에 관한 내용
1848년Ubi primum무염시태에 관한 내용
1849년Nostis et nobiscum교황령의 교회에 관한 내용
1854년Neminem vestrum아르메니아인들의 박해에 관한 내용
1858년Cum nuper성직자 돌봄에 관한 내용
1862년Amantissimus교회 돌봄에 관한 내용
1862년Ad universalis Ecclesiae엄숙 서원이 규정된 남성 수도회 입회 조건에 관한 내용
1864년콴타 쿠라 (오류표 첨부)근대 자유주의와 진보주의 비판
1865년Meridionali Americae원주민 성직자를 위한 신학교에 관한 내용
1874년Omnem sollicitudinem그리스-루테니아 전례에 관한 내용
1875년Quod nunquam프로이센의 교회에 관한 내용


5. 말년과 죽음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가 1878년 1월에 사망하는 것을 지켜보았다. 비오 9세는 왕이 위독하다는 소식을 듣자마자 그에게 내렸던 파문을 해제하고 다른 모든 종교적 처벌로부터 사면해 주었다. 왕이 죽은 지 한 달 뒤인 1878년 2월 7일 오후 5시 40분, 비오 9세도 시종들과 함께 묵주기도를 바치던 중 간질 발작으로 인한 갑작스러운 심근 경색으로 선종하였다.[64]

1868년부터 교황은 안면 단독균 감염증과 양쪽 다리 부위의 개방성 궤양에 시달렸다.[65] 그럼에도 불구하고 매일 미사를 집전하겠다고 고집하였다. 1877년 여름의 극심한 더위는 그의 병세를 더욱 악화시켰다. 비오 9세는 몇 차례 고통스러운 수술을 받았으며, 놀라운 인내심으로 그것들을 참고 이겨냈다. 그는 자신의 서재에서 추기경들의 알현을 받으면서 마지막 주를 보냈다.[66] 원죄 없이 잉태되신 동정 마리아 대축일인 12월 8일, 그의 몸 상태는 다시 걸을 수 있게 되었을 정도로 많이 호전되었다. 다음 해 2월, 비오 9세는 자신의 첫 영성체 75주년을 기념하는 미사를 다시 똑바로 서서 집전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1878년 2월 4일부로 기관지염, 낙상, 고열 등으로 상태가 급속도로 악화되었다. 로마 대리구장 추기경이 사람들에게 비오 9세의 쾌유를 기원하는 타종과 기도를 요청했을 때도 비오 9세 자신은 스스로 언제나 웃음을 잃지 않았으며 “그대는 내가 하늘나라에 가는 것을 원하지 않는가 보군.”이라면서 농담도 곧잘 하였다. 교황의 주치의는 그에게 남은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고 말하였다.[67]

교황 비오 9세는 1878년 2월 7일 85세의 나이에 선종하였다. 그가 숨을 거두기 전에 마지막으로 남긴 유언은 “내가 사랑하는 교회를 부디 거룩하게 잘 지켜주시오."였다. 그의 시신은 성 베드로 대성전의 지하 묘소에 안장되었다가 1881년 7월 13일 밤에 산 로렌초 푸오리 레 무라 대성당으로 이장하기 위한 행렬이 출발했다. 이때 한 무리의 반(反)성직주의 성향의 폭도들이 몰려와 돌을 던지고, 독성의 말을 하며, 저주를 하고, 음란한 노래를 부르는 등 급작스러운 시위를 전개하였다. 교황의 유해를 옮기는 행렬에 참여한 신자들은 묵주기도로 이에 대응하였다. 교황의 유해를 옮기는 행렬이 티베레 강에 이르렀을 때, 폭도들이 또다시 몰려와 교황의 유해가 든 관을 강 속에 던져버리려고 시도하였다. 결국 소식을 듣고 긴급하게 출동한 민병대가 현장에 도착하고 나서야 소요는 가까스로 진정되었으며, 비오 9세는 마지막 모욕을 간신히 면할 수 있었다.[68]

6. 시복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이탈리아 정부의 반대를 무릅쓰고 1985년 7월 6일 비오 9세의 ‘영웅적인 덕행’을 인정하고 그를 가경자로 선포하였다. 2000년 9월 3일 요한 바오로 2세는 비오 9세를 복자로 선포하였다.[52] 이날 바티칸 성 베드로 광장에서 가진 시복식에는 비오 9세 뿐만이 아니라 교황 요한 23세 등도 포함되었다.

요한 바오로 2세는 시복식에 참여한 약 10만 명의 신자들에게 강론을 통해 비오 9세에 대해 “자신의 직무에 충실했으며, 하느님과 영적인 가치를 무엇보다 우위에 두었다.”면서 “그분은 많은 사랑을 받았지만 증오와 비방도 많이 받았다.”고 말했다.

하지만, 비오 9세의 시복은 그의 권위주의적 정치, 주교 권한 남용, 반유대주의 등으로 인해 논란이 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Il Seminario Pio di Roma e la Diocesi di Senigallia (in Italian) http://www.microsoft[...] Papa Pio IX 2015-03-18
[2] 웹사이트 Cause of Beatification (in Italian) http://www.microsoft[...] Papa Pio IX 2015-03-18
[3] 웹사이트 Pius IX Revisited: 1878–1978 EWTN https://www.ewtn.com[...] 2021-08-29
[4] 웹사이트 Giovanni Maria Battista Mastai Ferretti, aka Pope Pius IX https://www.familyse[...] 2023-01-03
[5] 서적 The Story of My Life https://archive.org/[...] Dodd, Mead and Company 1896-00-00
[6] 잡지 Not So Saintly? http://www.time.com/[...] 2018-03-03
[7] 웹사이트 El Papado y la Iglesia naciente en América Latina (1808–1825) http://www.viajeros.[...] Viajeros.net 2013-06-23
[8] 서적 Pie IX. Face à la modernité Éditions Clovis 2016-00-00
[9] 서적 The Pope Who Would Be King: The Exile of Pius IX and the Emergence of Modern Europe 2018-00-00
[10] 웹사이트 The Triple Crown: An Account of the Papal Conclaves – Pius IX (Mastai-Ferretti) http://www.pickle-pu[...]
[11] 서적 Papstgeschichte https://archive.org/[...] 1933-00-00
[12] 웹사이트 Frances II of Naples, having fled from the fortress of Gaeta, is... https://www.gettyima[...] 2016-10-07
[13] 서적 1998-00-00
[14] 서적 1998-00-00
[15] 잡지 Profiles of the Eastern Churches: The Melkite Greek Catholic Church http://www.cnewa.org[...] CNEWA (Catholic Near East Welfare Association) 2009-09-13
[16] 웹사이트 Pius IX (1846-1878) https://cardinals.fi[...] The Cardinals of the Holy Roman Church 2022-02-20
[17] 뉴스 Historical Overview of the Rosmini Case https://www.ewtn.com[...] 2018-03-03
[18] 서적 Modern and Contemporary European History (1815-1921) Houghton Mifflin Company 1921-00-00
[19] 서적 0000-00-00
[20] 뉴스 Pope Francis Carries Forward Papal Commitment to Peace https://www.catholic[...] Catholic News Agency 2018-03-03
[21] 웹사이트 Il 'triumvirato rosso' https://www.bibliote[...] 2021-05-29
[22] 서적 Prisoner of the Vatican: The Popes, the Kings, and Garibaldi's Rebels in the Struggle to Rule Modern Italy Houghton Mifflin Harcourt
[23] 서적 Modern and Contemporary European History (1815-1921) Houghton Mifflin Company 1921-00-00
[24] 서적 History of Mexico volume V: 1824-1861 1879-00-00
[25] 웹사이트 Milestones: 1861–1865 - Office of the Historian https://history.stat[...]
[26] 웹사이트 Mexico: History http://www.scholasti[...] Grolier Online Scholastic 2018-12-00
[27] 뉴스 After 125 Years, Vatican, Mexico Restore Ties https://www.latimes.[...] 1992-09-22
[28] 웹사이트 casa imperial de Mexico http://www.casaimper[...] Casaimperial.org 2013-06-23
[29] 웹사이트 Guide to the Charlotte and Maximilian Collection, 1846-1927 MS 356 https://legacy.lib.u[...] 2021-05-18
[30] 서적 Reports from Committees https://books.google[...]
[31] 법률 Ecclesiastical Titles Act 1871
[32] 뉴스 Irish Famine sparked international fundraising https://www.irishcen[...] 2010-05-10
[33] 서적 Culture and Customs of the Netherlands Greenwood Press
[34] 서적 The Cause of All Nations: An International History of the American Civil War 2015-00-00
[35] 서적 The Age of Reconstruction: How Lincoln's New Birth of Freedom Remade the World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4-00-00
[36] 서적 The Cause of All Nations: An International History of the American Civil War (Unspecified) 2015
[37] 서적 Official Records of the Union and Confederate Navies in the War of the Rebellion https://books.google[...]
[38] 웹사이트 John Cardinal McCloskey http://www.fordhampr[...] Fordham Preparatory School 2016-06-06
[39] 논문 Enforcing the Kulturkampf in the Bismarckian state and the limits of coercion in imperial Germany https://www.jstor.or[...] 1984
[40] 웹사이트 The first pope to be photographed was not afraid of new technology https://aleteia.org/[...] Aleteia 2019-01-09
[41] 서적 #추정
[42] 웹사이트 Ineffabilis Deus https://www.papalenc[...] 1854-12-08
[43] 웹사이트 Papst Pius IX https://web.archive.[...] 2007-03-11
[44] 웹사이트 Pope Pius IX By Simone Perrotti. - ppt download https://slideplayer.[...] 2024-07-28
[45] 서적 #추정 Don Bosco Kalendárium 2011 Szalézi Szent Ferenc Társasága Budapest 2010
[46] 웹사이트 Pope Pious IX, epilepsy. Famous people who suffered from epilepsy. Pious IX http://www.epilepsie[...] Epilepsiemuseum.de 2013-06-23
[47] 뉴스 From Pius IX to 'Pio Nono' https://opinion.inqu[...] 2015-01-09
[48] 웹사이트 Bishop Oscar Cantoni http://www.catholic-[...] 2019-08-09
[49] 서적 #추정 バチカン近現代史
[50] 서적 #추정
[51] 웹사이트 カトリック中央協議会 https://www.cbcj.cat[...] 2024-02-25
[52] 서적 #추정
[53] 서적 옥스퍼드 교황사전 분도출판사 2014-01
[54] 서적 #추정 Papstgeschichte München 1933
[55] 서적 1848: Year of Revolution http://books.google.[...]
[56] 서적 #추정
[57] 서적 (Unspecified) http://books.google.[...]
[58] 서적 옥스퍼드 교황사전 분도출판사 2014-01
[59] 서적 교황의 역사 - 도시에서 세계로 시공사 1998
[60] 서적 Jefferson Davis: The Man and His Hour http://books.google.[...]
[61] 뉴스 권력이 된 종교는 부패한다 https://news.naver.c[...] 2005-01-28
[62] 서적 가톨릭의 역사 을유문화사
[63] 뉴스 세계교회사 100대 사건 84 - 제1차 바티칸 공의회 http://news.catholic[...] 2003-07-20
[64] 서적 #추정
[65] 웹사이트 Papst Pius IX https://web.archive.[...] 2007-03-11
[66] 서적 #추정
[67] 서적 #추정
[68]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Popes Oxford 198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